본문 바로가기

두뇌 이야기

(266)
여성의 뇌가 더 많이 활성화된다. 남성의 뇌는 시각과 운동조절 영역(사진의 청색부분)이 여성보다 더 활성화되는 반면 여성의 뇌는 집중, 충동 조절에 관여하는 전전두피질과 기분, 감정을 담당하는 변연계 등 훨씬 넓은 영역(사진의 붉은색부분)에서 남성보다 더 활성화된다. Image: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이러한 차이의 발견은 여성이 알츠하이머,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진단 가능성이 높고 남성이 ADHD, 행동장애 등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은 것과 같이 뇌질환이 성별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공감, 직감, 협동, 자기통제 등이 더 강하고 불안, 우울증, 불면증, 식이장애 등에 취약한 이유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Amen Clin..
눈을 깜박여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사람은 평균 1분에 20회, 1시간에 1200회 눈을 깜박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10%정도 눈을 감고있다.깜박이는 0.4초 동안 망막은 빛이 차단되고 모든 것이 어두워지지만 우리는 이를 거의 의식치 못하고 사물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과학자들은 두뇌가 깜박이는 짧은 순간을 연결할 "스냅샷(snapshot)"을 어떤 방법으로든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는 가설을 제시했었다. 두뇌가 깜박이는 순간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선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두뇌의 "내측 전전두피질(medial prefrontal cortex)"에서 이런 기능이 수행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내측 전전두피질은 이마 부위의 전전두엽 바로 뒤에 위치하며 단기기억과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뇌는 집중하는 중에도 주변을 탐색한다. 책을 읽는 것과 같이 뭔가에 집중할 때, 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두뇌가 계속 활성화 된다는 기존의 주장과는 달리 1초에 4회 정도 활성화 수준이 약해지며 주변을 탐색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프린스턴대학 인지신경과학자 Ian Fiebelkorn) 즉 두뇌는 지금 집중하고 있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더 위협적이거나 더 흥미로운 것)이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 1초에 4회 정도의 간격으로 주변을 시각적으로 탐색한다는 것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생존을 위해 잠재적 위험을 알아챌 수 있도록 두뇌가 이같이 작동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이런 두뇌의 리듬을 이해하면 ADHD 등과 같은 주의력 결핍장애의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원문보기> Your Brain Tries to Change Fo..
20분 걷기만으로도 우울증 위험이 1/3 감소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걷기를 생활화 하길 기대하며, 20분 걷는 것만으로 두뇌 건강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8가지 이점을 정리한다. 1. 우울증 발병위험이 1/3 감소한다.2. 반응시간이 빠르고 정확해지는 등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개선된다.3. 엔돌핀이 분비되어 스트레스와 고통에 대한 민감성은 낮추고 행복감을 느끼게한다.4. 뇌 신경망 발달과 인지기능에 필수 단백질인 BDNF가 증가된다.5. 피로도가 65% 감소하는 등 정신적,육체적 피로회복에 도움된다.6. 기억의 형성과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가 강화된다.7. 창의적 산출물이 평균 60% 증가하는 등 창의력 향상된다.8. 뇌 혈류를 증가시켜 두뇌에 더 많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한다. 원문보기> 8 Ways Walking Chan..
여성이 길치가 더 많은 불편한 이유 방향감각, 길찾기 등에서 남녀간에 차이가 나는 것은 타고난 능력 차이 보단 차별과 불평등한 기회 때문이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남녀간에 평등성이 높은 나라에서는 공간탐색 테스트 결과 남녀간 차이가 적었고그렇지 않은 나라에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컸다.이러한 사실은 런던대학의 해상모험게임을 활용한 치매연구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400만명 이상이 게임에 참여하였고, 방향감각과 길탐색 능력을 기록하였다. 추가로 발견된 사실은- 바이킹 후손인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가 세계에서 가장 길탐색 능력이 좋고- 방향감각은 10대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부유한 나라의 사람들이 길탐색 능력이 좋다. 원문보기 -> https://www.bbc.com/news/health-45134809?platform=hootsuite ne..
영화 '레인 맨'의 실제인물 Kim Peek 영화 '레인 맨'에서 더스틴 호프만은 흩어진 수백개의 이쑤시개를 한 눈에 세는 등 놀라운 기억력을 가진 자폐증 환자역이고 실제인물은 Kim Peek이다.Kim Peek은 좌·우반구를 연결하는 신경망이 없는 비정상적인 두뇌를 가지고 태어났지만그는 책을 읽을 때 왼쪽 눈은 왼쪽 페이지를 오른쪽 눈은 오른쪽 페이지를 각각 동시에 읽어 매우 빠른 속도로 읽고 또한 읽은 내용을 모두 기억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었다.특히 어느 날짜를 묻든 무슨 요일인지 그날의 중요한 사건이 무엇인지를 모두 기억하였다. 과학자들은 Kim Peek의 두뇌가 좌·우 두반구의 신경연결이 없어보통 사람과는 다른 신경연결망을 만들었고 이러한 추가적인 신경연결이 위와 같은 능력을 갖게된 이유라 말한다. 하지만 Kim Peek은 4살때 까지 걷는..
바다가 주는 힐링효과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다.그리고 바다 전망을 보며 사는 사람들이 더 평온함을 느낀다.("미국에서 가장 행복한 주"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하와이가 2008년이후 6번 선정)이러한 이유에 대해 임상심리학자인 Richard Shuster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바다의 파란색은 많은 사람들이 평온함과 평화로움을 느끼며바다를 보는 것만으로도 뇌파가 변화되고 온화한 명상상태가 된다.# 끊임없이 들려오는 파도소리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긴장을 완화하고 충만감을 느끼게 한다.# 바닷바람에는 계절성 우울증 등의 치유에 사용되는 음이온이 많아 마음을 진정시킨다.# 따듯한 모래가 발에 닿는 감각 자극이 긴장을 완화시킨다. 스마트폰의 전원은 끄고, 바다가 주는 천연 비타민을 온 몸으로 느껴보..
우리 몸엔 어떤 감각센서가 있을까? 학교에서 배운 주요 감각은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지만이것 만으로 우리 몸이 하는 많은 일들을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우리 몸이 감각을 갖기 위해선 이를 알려주는 센서가 필요하고 각 센서는 특정 감각에 대해서만 반응하기에 신체에 어떤 센서들이 있는지를 알면 감각을 이해하기 쉽다.* 눈에는 적정한 빛이 있을 때 활성화되어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cones)센서와 빛의 세기를 감지하고 어두운 곳에서 잘 작동하는 간상(rods)센서가 있다.* 귀에는 소리센서와 중력장에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있어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코에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화학센서가 있다.* 혀에는 맛을 느낄 수 있는 화학적 수용체가 있다.* 피부에는 열, 추위, 통증, 가려움, 압력 등에 민감한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