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사시(斜視), 뇌질환 신호일 수도
종양·팽창된 혈관이 뇌 신경 압박해 생겨
두 눈이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사시(斜視)
소아에게만 잘 생기는 병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시를 겪는 성인도 적지 않으며, 후천적으로 생기는 마비(痲痺)성 사시가 있는 성인도 국내에 8000명이 넘는다. 성인에게서 생기는 사시는 뇌동맥류(뇌혈관이 부풀어 오르는 질환)나 뇌종양의 신호일 수 있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 뇌압이 눈 움직이는 신경 마비시켜
성인이 돼서 생기는 사시는 눈을 움직이는 뇌 신경이 눌리면서 생긴다. 서울성모병원 안과 박신혜 교수는 "뇌동맥류가 생기면 혈관이 팽창하면서 신경을 압박하고, 뇌종양이 있어도 종양 덩어리가 신경을 누르거나 뇌압을 높여 눈을 움직이는 신경에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뇌동맥류가 생기면 눈이 귀쪽으로 쏠리는 외사시(外斜視)가, 뇌종양이 있으면 눈이 코쪽으로 쏠리는 내(內)사시나 위아래로 쏠리는 상(上)사시·하(下)사시가 잘 생긴다. 어떤 사시가 생기든 물체가 이중으로 겹쳐보일 수 있다. 박 교수는 "사시 증상으로 안과를 찾았다가 뇌질환을 발견하는 경우가 한 달에 한 건 이상 될 정도로 적지 않다"고 말했다.
■ 6개월 내 사라지면 대사질환 탓
후천적 사시가 생겼다고 무조건 뇌질환을 염려할 필요는 없다.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같은 대사질환도 후천적 사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대사질환이 있으면 뇌 신경으로가는 혈관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 신경이 마비되면서 사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뇌 문제로 생긴 사시와 달리 대사질환으로 생긴 사시는 식습관을 개선하고 약을 복용하는 등 질환을 잘 관리하면 80~90% 이상 6개월 내에 저절로 사라진다.
박 교수는 "후천적으로 사시가 생겼을 때는 일단 병원에서 뇌 질환 여부를 검사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눈이 자꾸 돌아가거나 물체가 두 겹으로 겹치는 증상이 반복되면 안과를 찾으라"고 말했다.
'두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예방에 도움 된다는 ‘마인드 다이어트’란? (0) | 2015.05.20 |
---|---|
워킹 앤 스트레칭, 간편 체조로 기억력까지 Up~ (0) | 2015.05.19 |
금연 성공하는 뇌, 따로 있다? (0) | 2015.05.15 |
[칼럼] 배운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는 방법 – 망각곡선 극복하기 (0) | 2015.05.08 |
고령운전자 안전대책 시급_기고글 펌_두뇌건강 (0) | 201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