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가 뇌와 장에 미치는 영향 알아두세요!!
얼마 전 집안 행사로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일 일이 있었다. 저녁을 먹고 난 뒤 거실에 둘러앉자 약간의 어색함이 흘러 이 분위기를 깨기 위해 TV를 켰다. TV에서는 의사와 음식 전문가들이 모여서 우유에 대한 토론을 하고 있었다. 한 소아과 전문의는 하루 세 컵 정도의 우유를 마시면 아이가 충분한 칼슘을 섭취해서 튼튼하게 자랄 수 있다고 하는데, 옆자리에 앉은 음식 연구가는 머리를 갸우뚱하며 아이들은 절대로 우유를 마시면 안 된다고 했다. 분위기가 점점 과열되자 다른 의사가 우유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며 토론을 급히 마무리 지었다.
이 방송을 본 가족들은 완전식품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던 우유에 대한 새로운 견해 때문에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 했다. 전문가란 사람들조차 일치한 답변을 주지 못하니 우유가 좋다는 것인지 나쁘다는 것인지 도통 모르겠기 때문이다
얼마 전 우유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내용의 '우유, 소젖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다큐멘터리가 전파를 타며 우유에 대한 시선이 굉장히 다양해졌음을 느끼고 있다. 이런 다양한 시선이 불편한 한국낙농육우협회와 낙농업 종사자 46명은 한국교육방송공사(EBS)를 상대로 방송중지 가처분 신청을 했지만, 재판부는 해당 EBS 프로그램이 우유 자체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내용을 담고 있을 뿐 신청인의 명예나 영업권을 직접 훼손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판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회를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완전식품 우유’라는 인식 대신에 ‘잘 알아보고 먹어야 하는 우유’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오늘은 우유가 뇌와 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지구상 모든 동물 중에 우유를 평생 먹는 것은 사람밖에 없을 것이다. 동물 세계에서 우유란 갓 태어난 새끼에게 잠시 영양을 공급해주는 일시적인 음식일 뿐, 평생 제공해야 하는 영양제가 아니다. 그런 부분에서 우유는 평생을 먹을 수는 없는 음식이다. 그리고 일단 우유는 소화가 잘 안 될 것이다. 우유에 들어있는 락토오스(Lactose)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소화효소 락타아제(Latase)가 필요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락타아제가 없어서 우유 속 락토오스는 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가 되어 복통이나 더부룩함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장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우유에 들어있는 카제인(casein)은 장벽을 파괴하는 것은 물론 만성 염증과 뇌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두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연구진 두뇌발달 저해 물질 발표] "불소 함유량 높은 식수, 어린이 IQ 떨어뜨린다" (0) | 2014.03.17 |
---|---|
언어치료 전에 "두뇌 발달" 체크 해보세요! (0) | 2014.03.17 |
[두뇌건강] 해조류 DHA 오메가-3 보충, 학령기 아동 수면 시간 증진 (0) | 2014.03.13 |
[교육] 3/29, brainHQ Practitioner 양성_활용 및 자격과정 (0) | 2014.03.11 |
[[brainHQ 제 1회 Brain 올림픽] 종합순위 4위! 대회를 성황리에 마무리!! (0) | 201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