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9)
사춘기 땐 생각하는 뇌 부위 덜 자라 … 버럭·까칠·소심이로~ 사춘기 땐 생각하는 뇌 부위 덜 자라… 버럭·까칠·소심이로~ 요즘 극장가의 화제는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이다. 23일 현재 박스오피스 2위를 달리고 있다. 누적 관객수는 250만 명을 넘어섰다. 처음부터 이처럼 흥행할지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재밌고 감동적’이라는 입소문을 탄 뒤론 관객이 늘어났다. 세대를 뛰어넘는 공감이 영화의 흥행 코드다. 영화의 주인공 라일리는 열한 살이 되면서 사춘기에 들어섰다. 기쁨이(Joy), 슬픔이(Sadness), 버럭이(Anger), 까칠이(Disgust), 소심이(Fear) 등 의인화한 다섯 가지 감정이 얘기를 풀어나간다. 피트 닥터 감독이 실제로 딸의 사춘기를 지켜본 경험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썼다. 감정 연구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폴 애크먼 박사를 비롯한 ..
영화 '인사이드 아웃'으로 보는 '뇌 훈련으로 감정 다스리기' 영화 '인사이드 아웃'으로 보는 '뇌 훈련으로 감정 다스리기' 자신의 성격을 볼 수 있다면, 당신 마음의 컨트롤 본부에는 어떤 감정이 대장 노릇을 하고 있을까? 기쁨이? 소심이? 까칠이? 버럭이? 슬픔이?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을 통해 보면 기쁨이 11살 주인공 라일리의 마음을 통제한다. 에이미 포엘러가 연기한 기쁨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은 라일리가 다른 도시로 이사를 가서 새 학교와 새 친구들을 만나는 등 다른 감정이 여러 모로 더 적절할 상황에서도 물러서기를 어려워 한다. 나는 감정이 우리 삶에서 하는 역할을 30년간 연구해왔고, 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인생의 고난을 겪고 났을 때 회복이 더 빠른 걸까 연구하게 된 동기도 그것이었다. 역경을 보다 잘 극복하는 회복력 좋은 집단의 특징은 무엇일..
어머니가 치매면 자녀도 걸릴 위험 높다?? 어머니가 치매면 자녀도 걸릴 위험 높다?? 美, 캔자스대 의대 연구 결과 父 그룹보다 母 치매 그룹이 뇌 신경 취약·위축 속도 빨라 부모에게 알츠하이머 치매가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본인이 치매에 걸릴 위험이 4~10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치매에 걸린 부모가 아버지냐 어머니냐에 따라 치매 발생 위험에 차이가 있을까? 미국 캔자스대 의대 로빈 호니아 교수팀은 치매에 걸리지 않은 60세 이상 53명을 대상으로 그 차이를 조사했다. 이 중 11명은 어머니가, 10명은 아버지가 치매였고, 나머지 32명은 부모 모두에게 치매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뇌 MRI(자기공명영상장치)와 인지기능 테스트를 했다. 이후 2년이 지나고 나서 다시 MRI를 찍고, 인지기능을 점검했다. 조사 결과,..
사망 원인 1위, 뇌졸중 막으려면,.. '혈관 청소부' HDL 콜레스테롤 늘려라! 사망 원인 1위, 뇌졸중 막으려면,.. '혈관 청소부' HDL 콜레스테롤 늘려라! 유산소 운동하고, 과식 피하면 증가 우리나라에서 단일질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것이 '뇌졸중'이다. 국내에서만 매년 약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며, 20분에 1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한다(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전문가들은 "혈관벽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뇌졸중은 혈관벽에 찌꺼기가 쌓여 혈관이 두꺼워지고, 결국 혈관이 막히며 발생하기 때문이다. 혈관을 깨끗이 하려면 몸속 혈관을 청소해주는'HDL 콜레스테롤' 양을 늘리는 게 효과적이다. ◇ 혈관벽 청소하는 'HDL 콜레스테롤' 우리 몸속 콜레스테롤은 HDL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로 나뉜다. 이중 LDL 콜레..
[두뇌건강] 뇌의 놀라운 치유력 1 _ 쓰면 쓸수록 뇌가 똑똑해진다! 쓰면 쓸수록 뇌가 똑똑해진다! 인간의 #노화 가 진행되는 동안 뇌가 스스로 치유하고 보호하거나 심지어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을까? 한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를 기계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뇌를 컴퓨터로 여겨 시간이 흐를수록 노화되고 많이 쓰면서 손상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신경과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뇌의 생리에 대한 이같은 비유의 부적절성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인간의 신체 부위와 마찬가지로 뇌도 ‘과다사용’해 마모되기보다는 ‘과소사용’해 쇠약해질 가능성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가 되면 뇌와 신체 운동이 더 중요해진다. #운동 은 자연스러운 노화의 진행 과정을 상쇄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믿을만한 방법 중 하나다. 또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는 ..
[두뇌건강] 젊은 시절 운동, 두고두고 "두뇌"에 보약!! 미네소타대 연구팀 25년 간 추적 관찰 젊은 시절에 운동을 꾸준히 하면몇 십 년 뒤 나이 들어서도 "두뇌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연구팀이 18~30세의 성인 2747명을 대상으로 25년간에 걸쳐 추적 관찰한 결과다.연구팀은 연구 시작 시점에서 이들에게 트레드밀(러닝머신) 위에서 달릴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달리게 했다. 그리고 20년 뒤에 다시 같은 식으로 달리기를 하게 했다. 또 다시 달리기 테스트를 한 때로부터 5년 뒤에는 어휘력과 정신운동속도(사고력과 신체운동 간의 관계), 사고력을 검사했다. 연구시작 시점에서는 평균 10분 달리기를 했었던 이들이 20년 뒤에는 지속시간이 그보다 3분가량 짧아졌다.분석 결과, 연구시작 시점에서 달리기 시간이 더 길었던..
[칼럼] 치매와 파킨슨병 & 뇌세포와 근육세포의 특성_고영훈 일반적인 통계에 의하면 치매는 80세 이후 급증하며 파킨슨병은 65세 이후 급증한다. 대략 70세 전후가 분기점이다. 이 두 가지 질병은 소수의 특별한 유전적 요인을 뺀 대부분은 어려서부터 형성된 도파민계라는 뇌 신경망의 발달 정도에 반비례하여 유발된다. 도파민계 뇌 신경 회로는 운동에 의해서 잘 발달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어릴 적의 운동은 자기효능감과 성취감을 주는 대표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구슬치기와 다트게임에서 구슬을 따고 점수가 올라가는 것을 좋아한다. 체구가 작았던 필자도 친구들과의 몸싸움은 피하고 혼자서 가능한 구슬치기나 활쏘기나 ‘이소룡’ 따라 하기로 성취감을 느꼈다. 운동으로는 어떤 단계나 목표가 있는 운동이 도파민계에 더 좋다. 사격이나 다트도 좋고, 승급과 승단 심사가 있는 운..
치매를 예방하는 두뇌 안티에이징 습관 12 치매는 환자 자신뿐 아니라 가족까지 고통스럽게 한다.국립중앙치매센터는 젊고 건강한 두뇌를 만드는 생활습관으로치매를 예방·관리할 것을 권한다. 친구와 만나기로 한 약속을 잊어버렸다.“아~ 맞아, 미안해”라고 기억해 내고 이야기한다면 건망증이다.하지만 치매 초기인 경도인지장애는 “우리가 약속했었다고?” “우리가 전화했었어?”라는 반응을 보인다. 약속한 사실 자체를 기억해내지 못한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일 때 치료를 시작하고 생활습관을 교정하면 치매 발병을 5년 정도 늦출 수 있다.국립중앙치매센터는 치매 예방·관리 수칙으로 활발한 두뇌활동, 적극적인 사회활동, 규칙적인 신체운동, 금연과 절주, 균형 있는 영양섭취, 정기적인 검진 등을 꼽는다. 1 책 읽으며 두뇌 단련 책을 읽어 정보가 입력되면 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