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제해결력

(4)
'의사결정력' 키우는 지능 훈련 지능적인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을 위해선 제한 시간내에 여러 정보를 불러내어 비교·조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복잡한 상황에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도록 작업기억에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유지하도록 훈련합니다. 브레인HQ '저글 팩터' neuronlearning.co.kr
자격유지검사의 도로찾기검사 대비 훈련 도로찾기검사는 공간지각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여러 도로가 얽혀있는 화면에서 목적지에 갈 수 있는 도로를 빨리 찾아내야 한다. 공간지각력이란 자신과 대상간의 상대적 위치, 거리, 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으로, 눈에 잘 띠는 큰 건물 등을 기준으로 목적지의 상대적 위치, 방향 등을 마음속으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어야 시행착오 없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공간지각력 좋은 사람이 수학, 과학과목에서 더 나은 점수를 얻고, 문제해결력이 좋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졌다. 때문에 대기업의 인적성검사에서도 공간지각력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도로찾기검사에 대비할 수 있는 BrainHQ 훈련은 [심적지도], [심적회전] 이다.게임방법은 격자안에 위치한 여러 표식의 상대적 위치를 잘 기억한 후 격자가 회전, 뒤집기..
빠른 의사결정위한 작업기억 용량 늘리기 책을 읽을 때 앞페이지의 내용이 금방 잊혀진다면,보고서를 작성할 때 같은 참고자료를 반복해서 본다면,시험문제를 풀 때 읽었던 지문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면,필시 작업기억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 입니다. 지능적인 의사결정은 종종 제한 시간 내에 다양한 정보의 조각을 회상해내고, 비교하고, 조작해내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저글 팩터] 는 현재의 정보를 조작하며, 작업기억속에 더 많은 정보를 담아두도록 훈련하는 것으로 복잡한 환경 속에서도 빠른 의사결정을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줄 것입니다. ko.brainhq.com
"창의융합형 인재"에 필요한 두뇌 만들기 교육부가 발표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안이 내년 2017년 부터 순차 적용됩니다.개정되는 교과별 주요사항에 필요한 두뇌기능 및 훈련을 정리하였습니다 2017년 - 초등 1,2학년, 수능개정안 발표(2020년 시행)2018년 - 초등 3~4학년, 중 1학년, 고 1학년2019년 - 초등 5~6학년, 중 2학년, 고 2학년2020년 - 중 3학년, 고 3학년 개정 시행되는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 학생들에게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통합사회·통합과학 등 문·이과 공통 과목 신설(문이과 통합)- 연극·소프트웨어 교육 등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 교육을 강화하며,-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적정화하고, - 교실수업을 학생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