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격유지검사는 안전운전에 필요한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7가지 검사를 한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65세이상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버스는 시행중이고 택시는 2019년에,
화물차는 2020년 부터 실시되며 일반운전자에 대해서도 실시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두뇌의 인지능력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행동이 달라지기에
자격유지검사에서 평가하는 각각의 인지능력이 운전과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를 주는지 살펴보자.
1. 시야각검사
- 시선을 중앙에 집중하며 한 눈에 주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시야범위 측정
- 이러한 시야범위를 유용한 시야범위(Useful Field Of View)라 한다.
20년 이상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시야범위 측정은 안전운전에 대한 정확한 예측지표이다.
정상각도는 120도 인데 40%이상 줄면 정상각도 대비 교통사고가 2배로 급증한다.
(나이에 따라 줄며 평균적으로 60대는 40%, 70대는 50% 줄어든다)
- 시야범위가 줄면 운전 외 자전거나 달리기를 할 때 주변에서 다가오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알아채기 힘들다.
특히 제조, 건설, 물류 등 현장근무자의 경우 안전사고에 대한 초기 대응이 늦어진다.
2. 신호등검사
- 시각정보처리 및 반응속도 측정
- 두뇌의 역할은 신체로 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적절한 운동을 출력하도록 신체에 명령한다.
반응속도가 빠르기 위해선 입력정보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처리가 선행되어야한다.
처리속도는 두뇌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지표이고
평균적으로 20대를 정점으로 70대에는 20대의 20% 수준으로 떨어진다.
시각정확도와 처리속도가 높으면 위험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 외에
일상에서 본 것들에 대해 세부사항까지 잘 기억하게 되고 그를 바탕으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
3. 화살표검사
- 선택적 주의력 측정
- 고속으로 달리며 전방을 주시하고 수시로 주변을 살펴야하는 운전상황은 고도의 집중을 필요로 한다.
중요한 것에 집중을 잘 하기위해선 사소한 것 또는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를 무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일상에서도 영화에 집중하기 위해선 팝콘소리를 무시할 수 있어야하는 것 처럼
학습이나 업무시 중요한 것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더 잘 기억할 수 있다.
4. 도로찾기검사
- 공간지각력 측정
- 공간지각이란 자신과 사물의 상대적 위치, 거리를 아는 것이다.
주변의 건물 등 환경 요소의 상대적 위치를 잘 기억하고 마음으로 회전, 이동 등 조작할 수 있어야
정확한 방향을 찾을 수 있다. 공간지각력이 좋으면 낯선 곳에서도 목적지를 바로 찾을 수 있고
가본 곳을 잘 기억하며 문제해결력이 좋고 수학, 과학과목의 성적이 높다.
5. 표지판검사
- 시각작업기억력 측정
- 작업기억이란 전화를 걸때까지만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것 처럼 정보처리를 할 때까지 잠시 잡아두는 기억이다.
목적지에 맞는 방향으로 차로변경을 할 때까지 표지판의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어야 성공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작업기억이 약하면 좀 전에 읽은 내용이 생각나지 않아 반복해서 봐야하고 지시받은 일을 자주 누락한다.
작업기억 좋은사람이 의사결정력이 좋고 창의적이며, 시험성적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인지능력이다.
6. 추적검사
- 주의지속능력 측정
- 혼잡한 도로에서 주변상황을 잘 파악하기 위해선 여러 대상을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한다.
어린이를 인솔하는 교사가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선 제각각인 아이들의 움직임을 잘 파악하고,
공에 집중하며 상대선수의 움직임을 잘 보기위해선 여러 대상에 주의력을 분산할 수 있어야 한다.
7. 복합기능검사
- 다중과제 수행능력 측정
- 시각, 청각, 운동반응 사이의 협응을 인지통합이라 하고 협응력이 높을 때 성공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악보를 보고 소리를 들으며 손으로 연주하는 악기연주가 대표적인 예이며
대화할 때도 상대의 얼굴을 보며 내용을 잘 듣고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어야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미국의 운전자도 면허를 유지하기 위해선 인지평가에 합격하여야 하고 이를위해 BrainHQ를 훈련한다.
BrainHQ훈련을 통해 인지능력을 회복하거나 향상한 사람들은 안전운전 뿐만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타인에 의존치 않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기에 삶의 질에 대한 평가 또한 높게 나온다.
#BrainHQ는 온라인 두뇌훈련 프로그램으로 국내에 한글버전 제공
'두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엔 어떤 감각센서가 있을까? (0) | 2018.05.15 |
---|---|
뇌를 보면 투자성향을 알 수 있다 (0) | 2018.05.01 |
낙서하면 더 잘 기억한다? (0) | 2018.03.21 |
뒤에 있는 괴물이 더 커 보이죠? (0) | 2018.02.27 |
스트레스 65% 낮춰주는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곡은?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