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결핍증, 구루병·골연화증·인지장애·치매 등 유발...
우리나라 17~20세 청소년 70~80% 결핍 증세..예방법은?
서울의과학연구소(SCL) 이안나 부원장 연구팀은 지난해 1년간 전국 332개 의료기관에서
SCL에 의뢰한 소아청소년 1만 372명의 비타민D 결핍률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15~20세 청소년 10명 중 7~8명은 비타민D 결핍 증세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국내 소아청소년 비타민D 결핍증은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중 18~20세의 비타민D 결핍증은 931명 중 799명인 85.8%에 달했다.
또한 연령별 비타민D 결핍률은 18~20세 85.8%, 15~17세 76.8%, 12~14세 75.1%, 9~11세 62.8%,
6~7세 51.2%, 3~5세 34%, 3세 이하 27.4%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청소년의 결핍률이 더 높았으며
국내 청소년들의 비타민D 결핍률이 높은 것은 과중한 학업과 입시경쟁으로
햇빛을 쬘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청소년들의 비타민D 결핍률은 유소아보다도 더 높았다.
비타민D 결핍증은 대표적으로 ‘구루병’, ‘골연화증’ 등으로 잘 알려진 뼈의 변형, 또는 성장장애다.
비타민D는 칼슘과 인의 대사를 좌우하는데, 부족할 경우 칼슘과 인이 충분히 뼈에 축적되지 않아
뼈가 약해지고 결국 휘거나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외에도 비타민 D의 심한 결핍은
심장혈관계 질환, 비염, 인지 장애,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도 밝혀졌다.
한편 ‘비타민D 결핍 증상’에 가장 좋은 예방법은
햇빛을 충분히 쬐어주는 것으로 맑은 날을 기준으로 일주일에 두세 번 얼굴과 팔, 손 등에 5분~10분 남짓 햇볕을 받을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 그러나 자외선을 과도하게 쬐는 것은 피부에 좋지 않으므로, 자외선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는 오랫동안 야외에서 활동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그 외에는 고등어, 달걀노른자 등 음식을 통해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이다.
'두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약물 없이 치료할 수 있다! (0) | 2015.04.30 |
---|---|
15분당 1명 생기는 '치매 환자'…암담한 현실 (0) | 2015.04.30 |
美 연구팀 "알츠하이머 발병원인은 뇌 면역체계 약화"_두뇌건강 (0) | 2015.04.22 |
삼성 SSAT, 현대 HMAT의 공간지각능력 평가시험을 준비하자! (0) | 2015.04.13 |
언어와 공간지각 능력의 관계 (0) | 201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