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뇌 이야기

아침식사 ‘뇌’를 깨우는 총명의 기초



바쁜 일과로 조금이라도 더 잠을 자고 싶어하는 현대인들.

이런 이유로 아침식사를 거르고 30분 더 단 아침잠을 자는 직장인, 학생들이 많은 편이다.

개인적으로는 아침식사는 뇌를 깨우는 총명의 기초라고 말하고 싶다.

밤새 잠을 잔 후 눈을 뜨면 제일 먼저 화장실에서 소변을 본 후 아침을 먹는 것이 좋다.

소변 색깔을 보면 건강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진하면 건강이 좋지 않다는 신호다.


아침식사는 뇌를 깨우는 활동의 시작이다. 

음식물을 씹는 "저작활동"은 뇌가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데 꼭 필요하다.

마치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해 반드시 엔진 시동을 거는 것과 같다고 인식하면 된다.

가끔 환자 중 아침밥이 죽어도 안 먹힌다고 하소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가볍게 선식을 아침식사 대용으로 먹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단, 가급적 시중에 나와 있는 선식들 중 영양 밸런스가 골고루 배합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단순히 곡류 위주의 선식보다는 씹히는 내용물도 있고 해소에 도움이 되는 식재료가 함께 배합된

해소선식이 더욱 효과적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선식이 왜 효과적인가 하면 단 5분 투자로 아침식사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소 밥을 먹을 때보다 최소 20분 이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그만큼 더 잠을 잘 수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만약 선식도 불편하다면 무설탕 요구르트과일을 섭취하는 것도 무방하다. 

혹은 땅콩, 호두, 잣과 같은 견과류를 먹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그렇다면 왜 아침식사를 해야 하는가? 

한의학에서는 숙면은 매우 중요한 건강 포인트라고 본다. 

밤 10시부터 새벽 2시는 신장의 기가 채워지고 호르몬이 왕성해지는 시간대다. 

취침은 곧 재충전을 위한 휴식 시간이자 뇌가 기능을 최소화하는 시간이다. 

이 때문에 아침에 기상하면 "저작작용"을 통해 뇌를 깨우고 하루 종일 활동할 영양분을 공급해야 한다. 

자동차를 운전하려면, 예열, 시동, 운전순으로 진행되듯 

사람도 취침, 기상, 아침식사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갖고 있는 뇌기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


아침식사로 뇌를 깨웠다면 가급적 좌뇌와 우뇌를 교차 활용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좌뇌는 주로 수학을 담당하고 우뇌는 언어와 관계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오전과 오후 업무 혹은 공부를 할 때에도 

수학적인 혹은 언어발달을 위한 파트를 나누어 공부하거나 업무를 보면 뇌 기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무더운 여름이 다가오면서 벌써부터 잠자는 시간을 놓치면서 생체 리듬감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머리도 멍하면서 빨리 두뇌 회전이 안 된다고 자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가급적 아침을 깨우고 규칙적인 식생활과 취침생활 일정화로 신체 밸런스를 잡아주는 것이 

건강한 여름나기의 기본이다. 



[출처] 이코노믹리뷰 > TODAY 뉴스

http://www.econovill.com/archives/21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