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공간인지 능력"이 창조성·혁신능력 결정
미국 밴더빌트대학 연구
"13살 때 능력이 30년 뒤 미래 좌우"
유아·아동기의 "공간 인지 능력" 정도가 창조성과 학문적 성취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미국심리과학학회(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의 학술지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에는 13살 때 측정된 탁월한 공간 인지 능력을 통해 향후 30년간의 창조성과 학문적 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미국 밴더빌트대학 데이비드 루빈스키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2·3차원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은 대부분의 지식분야, 특히 과학·기술·공학·수학 등의 분야에서의 창조성과 혁신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간 인지 능력을 통한 예측은 수학 또는 언어적 능력을 통한 기존의 측정방법보다 훨씬 탁월하다고 연구팀은 주장했다. 그러나 아직 공간 인지 능력을 특정할 수 있는 정교한 과학적 방법이 개발되지 못한 상태라고 루빈스키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영재 어린이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현존 방법들은 공간 인지 능력에서 상위 1%에 속한 어린이들의 절반가량을 제대로 짚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루빈스키 교수팀은 1970년대 후반에 이뤄진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13살때 미국 대학입학자격시험(SAT)에서 상위 0.5%에 속한 563명의 앞으로 30년간 성장 특성을 추적 조사했다. 동시에 이들의 공간 인지 능력에 관한 자료도 함께 분석했다.
예상했던 대로 13살 때 SAT의 수학·언어추론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학생들은 30년 뒤 저술이나 특허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좋은 성과를 얻었다. 특히 공간 인지 능력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던 학생들은 30년 뒤 과학·기술·공학·수학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창조성과 업적을 이룬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그간 교육·구직 과정에서 주로 사용됐던 전통적인 측정 방식이 알아내지 못한 부분을 공간 인지 능력이 포착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루빈스키 교수는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공간 인지 능력을 높이는 교육훈련을 받는 것이 창조성과 혁신능력을 기르는 첩경이라고 강조했다.
루빈스키 교수는 "우리는 인적 자원의 시대에 살고 있는 만큼 창조성은 중요한 물질적 가치를 지닌다"면서 "혁신과 창조성을 발현시키는 인류의 특성을 잘 이해하면 교육, 훈련, 사업, 재능개발 등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 세계 > 미국·북미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3/07/17/0608000000AKR20130717002700072.HTML
-------------------------------------------------------------------------------
두뇌 인지능력을 과학적인 설계와 임상적으로 검증된 체계적인 훈련을 제공합니다.
http://kor.brainhq.com/ 에서 회원가입을 통해 일부 훈련을 무료체험 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1544-3377)